Fichier de travail (INPUT) : ./DUMP-TEXT/utf8_16-33.txt
Encodage utilisé (INPUT) : UTF-8
Forme recherchée : 트랜스|トランス|性同一性障害|trans|брекзит|брексит|foreign|works|travailleurs|expatrié|trump|macron|daval|fleury|daube|plurital|mouvement|social|movement|industrial|action|anglicisme|وضعف|الانيه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- Ligne n°33 : 트랜스젠더가 정말로 위협하는 것은
Ligne n°40 : ... /articles/278179&send=false&layout=button_count&width=105&show_faces=tr- Ligne n°41 : ue&font=arial&colorscheme=light&action=like&height=21&appId=22839424053
Ligne n°42 : 1114 ...- Ligne n°52 : 트랜스젠더 '군인'과 '대학 지원자'의 등장 소식이 전해지며 이들의 여군 전환, 여대 입학을 반대한다는 여론이 거셌다. 마치
Ligne n°53 : 여성들만의 공간에 남성이 침입한 것처럼 여기며 불안해하거나, 트랜스젠더를 '가짜' 여성으로 규정하며 '진짜' 여성들의 자리를 ...
Ligne n°52 : ... 트랜스젠더 '군인'과 '대학 지원자'의 등장 소식이 전해지며 이들의 여군 전환, 여대 입학을 반대한다는 여론이 거셌다. 마치- Ligne n°53 : 여성들만의 공간에 남성이 침입한 것처럼 여기며 불안해하거나, 트랜스젠더를 '가짜' 여성으로 규정하며 '진짜' 여성들의 자리를
Ligne n°54 : 지켜야 한다는 식이었다. 언론은 불안을 매개로 트랜스젠더 혐오를 '타당한 의견'처럼 전파해댔다. 성별 전환은 개인의 선택인데 ...
Ligne n°53 : ... 여성들만의 공간에 남성이 침입한 것처럼 여기며 불안해하거나, 트랜스젠더를 '가짜' 여성으로 규정하며 '진짜' 여성들의 자리를- Ligne n°54 : 지켜야 한다는 식이었다. 언론은 불안을 매개로 트랜스젠더 혐오를 '타당한 의견'처럼 전파해댔다. 성별 전환은 개인의 선택인데
Ligne n°55 : 군인과 여대생이라는 '자격'까지 원하는 건 이기적이라거나, 왜 하필 군대와 여대냐고 물으며 다른 곳으로 가라는 목소리도 나왔다. ...
Ligne n°55 : ... 군인과 여대생이라는 '자격'까지 원하는 건 이기적이라거나, 왜 하필 군대와 여대냐고 물으며 다른 곳으로 가라는 목소리도 나왔다.- Ligne n°56 : 그런데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지 않고 일하거나 공부할 수 있는 곳이 있기는 한가.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는
- Ligne n°56 : 그런데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지 않고 일하거나 공부할 수 있는 곳이 있기는 한가.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는
Ligne n°57 : 없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고, 가끔씩 등장할 때는 비정상적이거나 성적인 이미지로만 취급되어 왔다. 문제는 트랜스젠더의 ...
Ligne n°56 : ... 그런데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지 않고 일하거나 공부할 수 있는 곳이 있기는 한가.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는- Ligne n°57 : 없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고, 가끔씩 등장할 때는 비정상적이거나 성적인 이미지로만 취급되어 왔다. 문제는 트랜스젠더의
Ligne n°58 : 존재가 아니라, 트랜스젠더와 함께 살아갈 준비를 하지 않는 사회다. 트랜스젠더의 존재가 가시화된 지금, 우리는 어떤 고민을 ...
Ligne n°57 : ... 없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고, 가끔씩 등장할 때는 비정상적이거나 성적인 이미지로만 취급되어 왔다. 문제는 트랜스젠더의- Ligne n°58 : 존재가 아니라, 트랜스젠더와 함께 살아갈 준비를 하지 않는 사회다. 트랜스젠더의 존재가 가시화된 지금, 우리는 어떤 고민을
- Ligne n°58 : 존재가 아니라, 트랜스젠더와 함께 살아갈 준비를 하지 않는 사회다. 트랜스젠더의 존재가 가시화된 지금, 우리는 어떤 고민을
Ligne n°59 : 이어가야 할까. ...
Ligne n°59 : ... 이어가야 할까.- Ligne n°60 : 트랜스젠더가 던지는 질문
Ligne n°61 : 한국 사회에서 군대는 철저하게 남성의 공간으로 여겨져 왔다. 여군의 비율은 간부 중 6%에 불과하며, 사병을 포함하면 그 비율은 ...
Ligne n°63 : ... 남성'을 가르는 과정으로, 군 복무 기간은 '진짜 사나이'가 되는 시간으로 이야기된다. 최근 국방부는 음경과 고환 상실을 이유로- Ligne n°64 : 트랜스젠더 군인에게 강제전역 결정을 통보했다. 당사자가 복무해온 전차 조종 보직을 유지하는데 미치는 영향이 없다거나, 함께
Ligne n°65 : 복무해온 동료들의 지지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. 트랜스젠더 군인은 군대를 통해 규정해온 정상적 남성의 규범을 흔들고 위협하는 ...
Ligne n°64 : ... 트랜스젠더 군인에게 강제전역 결정을 통보했다. 당사자가 복무해온 전차 조종 보직을 유지하는데 미치는 영향이 없다거나, 함께- Ligne n°65 : 복무해온 동료들의 지지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. 트랜스젠더 군인은 군대를 통해 규정해온 정상적 남성의 규범을 흔들고 위협하는
Ligne n°66 : 존재로 여겨졌다. ...
Ligne n°68 : ... 만들어졌다. 그러나 성에 따른 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공간에서, 특정 학생의 성별을 의심하고 부정하는 폭력적인 상황이 펼쳐졌다.- Ligne n°69 : 학교는 트랜스젠더 학생을 향한 모욕과 폭력에 대해서 침묵으로 일관했고, 결국 당연했던 입학을 스스로 포기하게 했다. 두 사건은
Ligne n°70 :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양상과 구도로 드러났지만, '특정 성별을 위한 공간'을 지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. ...
Ligne n°70 : ...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양상과 구도로 드러났지만, '특정 성별을 위한 공간'을 지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.- Ligne n°71 : 트랜스젠더 군인과 여대생의 등장은 '남성의 공간인 군대', '여성의 공간인 여대'라는 신화에 질문을 던졌다. 그러나 군대와
Ligne n°72 : 여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변화하는 대신, 질문하는 존재들을 배제해버렸다. ...
Ligne n°73 : ... 무엇이 여성을 불안하게 만드나- Ligne n°74 :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는 사람들은 '진짜 여성이 느끼는 불안'을 이야기한다. 누군가는 여성 차별이 옛 일이라고 말하지만, 여전히
Ligne n°75 :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불법 촬영을 비롯한 각종 성범죄에 노출되거나 목숨을 잃는 사람들이 있다.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력 범죄 ...
Ligne n°79 : ... 기대고 서로를 도우며 현실을 살아냈다.- Ligne n°80 : 문제는 동질성의 기준이다. '생물학적 여성이 진짜 여성이다', '가짜 여성인 트랜스젠더가 성별 정정을 할 수 없도록 해야
Ligne n°81 : 한다'는 주장은 트랜스젠더를 '여성 집단이라는 동질성을 위협하는 존재'로 여기며 배제를 정당화한다. 여성이 차별받는 현실을 ...
Ligne n°80 : ... 문제는 동질성의 기준이다. '생물학적 여성이 진짜 여성이다', '가짜 여성인 트랜스젠더가 성별 정정을 할 수 없도록 해야- Ligne n°81 : 한다'는 주장은 트랜스젠더를 '여성 집단이라는 동질성을 위협하는 존재'로 여기며 배제를 정당화한다. 여성이 차별받는 현실을
Ligne n°82 :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대에서, 마찬가지로 차별받는 트랜스젠더 여성은 여성'만'을 위한 공간의 침범자로 여겨졌다. 여성의 ...
Ligne n°81 : ... 한다'는 주장은 트랜스젠더를 '여성 집단이라는 동질성을 위협하는 존재'로 여기며 배제를 정당화한다. 여성이 차별받는 현실을- Ligne n°82 :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대에서, 마찬가지로 차별받는 트랜스젠더 여성은 여성'만'을 위한 공간의 침범자로 여겨졌다. 여성의
Ligne n°83 : 불안은 안전에 대한 위협만을 의미하지 않았다. "남녀공학 안 가고 굳이 여대냐"는 날선 반응은 여성의 자리를 빼앗길 수도 있다는 ...
Ligne n°86 : ... 규범은 더욱 공고해진다. 이러한 배제는 남성 권력이라는 구조를 건드리지 않은 채 비(非)남성 집단 내의 경합을 부추길 뿐이다.- Ligne n°87 : '진짜 여성', '정상적 여성'을 찾으려는 노력은 트랜스젠더뿐 아니라 모든 여성에게 가해지는 굴레를 강화한다. 트랜스젠더가
- Ligne n°87 : '진짜 여성', '정상적 여성'을 찾으려는 노력은 트랜스젠더뿐 아니라 모든 여성에게 가해지는 굴레를 강화한다. 트랜스젠더가
Ligne n°88 : 위협하는 것은 '진짜 여성'이 아니라, 젠더에 따라 정상성을 구획하는 체계 자체다. ...
Ligne n°90 : ... 신분증에서부터 화장실·목욕탕 등의 공간, 놀이문화나 일에 대한 적성까지 모든 영역이 남성과 여성으로 구획된다. 이러한 조건에서- Ligne n°91 : 트랜스젠더에게 모든 것은 '장벽'이다.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때마다 마주하는 두려움으로 물 마시는 것을 자제한다. 선거 때
Ligne n°92 : 투표장부터 일상에서 우편물 수령까지 신분을 확인하는 매 순간 경계의 눈초리를 겪는다. "남자냐 여자냐", "본인이 맞냐" 는 ...
Ligne n°93 : ... 질문이 뒤따른다. 끊임없이 정상성을 의심받고, 이를 증명해낼 것을 요구받는다.- Ligne n°94 : 소위 '정상적이지 않은' 트랜스젠더만의 문제일까. 어렸을 때 가슴이 작은 친구들은 여자 맞냐는 놀림을 받곤 했다. 결혼적령기를
Ligne n°95 : 지난 여성에게 가임 '능력' 저하를 대비해 난자냉동을 권한다. 노인 여성은 성적 수치심을 느끼지 않는다며 그녀들에 대한 성폭력을 ...
Ligne n°101 : ... 때문이다. 낯설게만 보였던 용어의 등장은, 남성과 여성을 정상으로 규정해온 언어에서 배제된 사람들이 자신을 규정할 수 있는 말을- Ligne n°102 : 만들고 찾는 작업이었다. 젠더 규범에 기반한 폭력과 배제는 트랜스젠더뿐 아니라 모든 여성들에게 가해진다. 이러한 규범이 지배하는
Ligne n°103 : 공간에서는 누구도 자유롭고 안전할 수 없다. ...
Ligne n°107 : ... 몸과 다양한 삶이 인정될 때, 모두를 억압하는 체계 역시 변화할 수 있다.- Ligne n°108 : 트랜스젠더 군인과 대학 지원자는 각각 강제전역을 당하고 입학을 포기했지만, 그럼에도 멈춰 서지 않았다. 군인으로서의 꿈을 지키기
Ligne n°109 : 위해, 법을 공부하고 싶었던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까지 내딛어온 걸음을 다시 내딛고 있다. 젠더로 구획되어온 규범, 성별로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