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ichier de travail (INPUT) : ./DUMP-TEXT/utf8_16-36.txt
Encodage utilisé (INPUT) : UTF-8
Forme recherchée : 트랜스|トランス|性同一性障害|trans|брекзит|брексит|foreign|works|travailleurs|expatrié|trump|macron|daval|fleury|daube|plurital|mouvement|social|movement|industrial|action|anglicisme|وضعف|الانيه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Ligne n°132 : ... “난 거 싫어요. 성전환 수술을 한 사람이면 몰라도…” 지난해 대선기간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성 소수자에 대한 질문에 내놓은- Ligne n°133 : 대답이다. 그의 발언은 트랜스젠더를 향한 무지와 편견을 보여준다. 성전환 수술을 한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인정하고 그렇지 않은
- Ligne n°133 : 대답이다. 그의 발언은 트랜스젠더를 향한 무지와 편견을 보여준다. 성전환 수술을 한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인정하고 그렇지 않은
Ligne n°134 :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배제해버리는 모습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이다. 트랜스젠더에게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. 트랜스젠더를 대하는 ...
Ligne n°133 : ... 대답이다. 그의 발언은 트랜스젠더를 향한 무지와 편견을 보여준다. 성전환 수술을 한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인정하고 그렇지 않은- Ligne n°134 :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배제해버리는 모습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이다. 트랜스젠더에게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. 트랜스젠더를 대하는
- Ligne n°134 :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배제해버리는 모습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이다. 트랜스젠더에게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. 트랜스젠더를 대하는
- Ligne n°134 : 트랜스젠더는 사회가 배제해버리는 모습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이다. 트랜스젠더에게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. 트랜스젠더를 대하는
Ligne n°135 : 우리 사회의 문제를 짚어봤다. ...
Ligne n°139 : ... 우리나라는 법적 성별 변경 요건을 규정한 법률이 없다. 지난 2002년에 ‘성전환자의 성별 변경에 관한 특례 법안’이 발의된- Ligne n°140 : 이후 두 차례 더 관련 법안이 논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. 트랜스젠더 퀴어 연구소 루인 선임연구원은 대법원
Ligne n°141 : 가족관계등록예규인 「성전환자의 성별정정허가신청사건 등 사무처리지침」(사무처리지침)에만 의존해 성별 정정 판결이 이뤄지고 있다고 ...- Ligne n°146 : 사무처리지침이 트랜스젠더에게 과도한 조건을 요구한다는 점도 문제다. 성별을 정정하는 데 있어 가장 우선시돼야 할 부분은
Ligne n°147 : ‘개인이 인지하는 성 정체성’이다. 하지만 사무처리지침은 이외에도 ‘정신과 치료 여부, 자녀 유무, 생식능력의 불능 여부’ 등을 ...
Ligne n°150 : ... 법적인 성별을 정정하려면 2명 이상의 정신과 전문 의사 진단서가 필요하다. 실제로 성 정체성 혼란은 ‘성 정체성 장애’란- Ligne n°151 : 명칭으로 정신질환 진단분류(DSM-5)에 등록돼있다. 이는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받는 정신적
Ligne n°152 : 스트레스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다. 그러나 성별 정정에서 요구하는 정신과 진단서는 자기 선언이 아닌 의사의 진단을 통해 ...
Ligne n°152 : ... 스트레스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다. 그러나 성별 정정에서 요구하는 정신과 진단서는 자기 선언이 아닌 의사의 진단을 통해- Ligne n°153 : 트랜스젠더임이 증명돼야 함을 뜻해 문제가 된다. 정신과 의사가 감별사의 역할로 트랜스젠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.
- Ligne n°153 : 트랜스젠더임이 증명돼야 함을 뜻해 문제가 된다. 정신과 의사가 감별사의 역할로 트랜스젠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.
Ligne n°155 : ... 자녀 유무 또한 성별 정정에 영향을 미친다. 법원은 미성년 자녀가 있으면 성별 정정을 허락하지 않는다. 성별이 바뀐 부모는- Ligne n°156 : 미성년 자녀에게 혼란을 준다고 보기 때문이다. 하지만 공익인권변호사모임 ‘희망을만드는법’ 박한희 변호사는 부모가 트랜스젠더인
Ligne n°157 : 경우 부모의 성별 정정이 오히려 자녀를 위한 일이라고 말한다. “부모가 트랜스젠더인 가정을 보면 트랜스젠더 부모를 이해하는 ...
Ligne n°156 : ... 미성년 자녀에게 혼란을 준다고 보기 때문이다. 하지만 공익인권변호사모임 ‘희망을만드는법’ 박한희 변호사는 부모가 트랜스젠더인- Ligne n°157 : 경우 부모의 성별 정정이 오히려 자녀를 위한 일이라고 말한다. “부모가 트랜스젠더인 가정을 보면 트랜스젠더 부모를 이해하는
- Ligne n°157 : 경우 부모의 성별 정정이 오히려 자녀를 위한 일이라고 말한다. “부모가 트랜스젠더인 가정을 보면 트랜스젠더 부모를 이해하는
Ligne n°158 : 자녀의 경우가 더 많아요. 오히려 자녀의 입장에선 자신의 존재로 인해 부모가 원하는 성별로 살지 못한다는 생각에 괴로워하죠.” ...- Ligne n°164 : 그러나 유엔고문특별조사위원은 트랜스젠더에 대한 국가의 강제적 불임 요구는 고문에 해당한다고 판단한다. 비온뒤무지개재단 이승현
Ligne n°165 : 이사는 개인이 느끼는 성별 위화감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성전환 수술이 꼭 필요한 조치가 아니라고 설명한다. “성별 위화감은 ...
Ligne n°166 : ... 생물학적 성별과 성 정체성이 달라서 생기는 불편한 감정을 뜻해요. 성별 위화감이 낮은 경우에는 호르몬 요법만 시행해도 무방하죠.- Ligne n°167 : 모든 트랜스젠더에게 수술이 필수적인 건 아니에요.”
- Ligne n°169 : 트랜스젠더가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의료적 조치로는 호르몬 요법에서부터 목젖성형수술, 고환·정관절제술, 자궁·난소난관절제술,
Ligne n°170 : 성기재건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다. 현재 한국은 이러한 과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무처리지침에 따라 모든 ...
Ligne n°170 : ... 성기재건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다. 현재 한국은 이러한 과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무처리지침에 따라 모든- Ligne n°171 : 수술을 다 끝마친 트랜스젠더에게만 성별 정정을 허락한다. 법원의 일방적인 조건에 원하지 않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
Ligne n°172 : 것이다. ...- Ligne n°181 : 비용의 측면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와 관련된 의료기관의 인식 수준이 낮은 것도 문제다. 이승현 이사는 트랜스젠더가 성전환
- Ligne n°181 : 비용의 측면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와 관련된 의료기관의 인식 수준이 낮은 것도 문제다. 이승현 이사는 트랜스젠더가 성전환
Ligne n°182 :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한정적이고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조치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정도도 낮다고 말한다. “의료기관에서 ...
Ligne n°181 : ... 비용의 측면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와 관련된 의료기관의 인식 수준이 낮은 것도 문제다. 이승현 이사는 트랜스젠더가 성전환- Ligne n°182 :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 한정적이고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조치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정도도 낮다고 말한다. “의료기관에서
Ligne n°183 : 트랜지션과 관련한 부작용이나 정신건강을 간과하는 측면이 많죠. 심지어 보험처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병원이 성전환 수술을 돈벌이 ...
Ligne n°186 : ... 의료적 조치나 건강검진을 위해 병원을 방문할 때 의료진의 편견을 대면하는 일도 다반사다. 루인 선임연구원은 의료진의 무지에서- Ligne n°187 : 비롯된 트랜스젠더를 향한 혐오 발언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. “진료 과정에서 의사에게 혐오 발언을 듣는 일이 잦지만 이를 문제
Ligne n°188 : 삼을 수 있는 장치가 없어요. 트랜스젠더들 스스로가 자체적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트랜스젠더에게 우호적인 병원을 공유하는 수밖에 ...
Ligne n°187 : ... 비롯된 트랜스젠더를 향한 혐오 발언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. “진료 과정에서 의사에게 혐오 발언을 듣는 일이 잦지만 이를 문제- Ligne n°188 : 삼을 수 있는 장치가 없어요. 트랜스젠더들 스스로가 자체적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트랜스젠더에게 우호적인 병원을 공유하는 수밖에
- Ligne n°188 : 삼을 수 있는 장치가 없어요. 트랜스젠더들 스스로가 자체적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트랜스젠더에게 우호적인 병원을 공유하는 수밖에
Ligne n°189 : 없는 상황이죠.” ...- Ligne n°193 : 트랜스젠더 인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법과 제도의 문제는 결국 트랜스젠더를 향한 사회의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한다. 제도가
- Ligne n°193 : 트랜스젠더 인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법과 제도의 문제는 결국 트랜스젠더를 향한 사회의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한다. 제도가
Ligne n°194 : 무력화됐을 때 인권의식이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하지만 우리 사회는 소수자를 외면하고 차별을 묵인했다. 소수자를 향한 부정적 ...
Ligne n°197 : ... 루인 선임연구원은 성별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상황은 여성과 남성 이외의 다른 삶의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는다고 말한다.- Ligne n°198 : “남녀로만 성별을 기재하는 사회에서 트랜스젠더는 불가능한 삶, 잘못 태어난 존재로 보이게 되죠. 하지만 트랜스젠더를 잘못 태어난
- Ligne n°198 : “남녀로만 성별을 기재하는 사회에서 트랜스젠더는 불가능한 삶, 잘못 태어난 존재로 보이게 되죠. 하지만 트랜스젠더를 잘못 태어난
Ligne n°199 : 존재로 만드는 사회에 먼저 잘못을 물어야 해요.” ...
Ligne n°202 : ... DSM-5 분류 목록에서 제외한 날을 기념해 열리는 행사다. 과거 동성애를 향한 사회적 낙인이 있었던 것처럼 박한희 변호사는- Ligne n°203 : 트랜스젠더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이 문제라고 말한다. “과거에는 동성애를 병자로 바라봤어요. 하지만 1990년 이후 공식기관에서
Ligne n°204 : 동성애가 병이 아니라고 선언했죠. 현재 사회는 트랜스젠더를 부도덕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어요. 이제는 트랜스젠더를 어떻게 바라볼 ...
Ligne n°203 : ... 트랜스젠더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이 문제라고 말한다. “과거에는 동성애를 병자로 바라봤어요. 하지만 1990년 이후 공식기관에서- Ligne n°204 : 동성애가 병이 아니라고 선언했죠. 현재 사회는 트랜스젠더를 부도덕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어요. 이제는 트랜스젠더를 어떻게 바라볼
- Ligne n°204 : 동성애가 병이 아니라고 선언했죠. 현재 사회는 트랜스젠더를 부도덕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어요. 이제는 트랜스젠더를 어떻게 바라볼
Ligne n°205 :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죠.” ...